다산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선생이 71세에 지은
한시이다. 6수로 이우어진 노인일쾌사(老人一快事)는 자신의 노년 모습과 일상의 이야기를 읊었다. 다산은 늙어서 머리와 치아가 빠지고 눈과 귀가
어두어지는 것을 한탄하기보다는 긍정적으로 해석한다. 다산에게 머리카락은 애초에 군더더기였다. 치아는 다 빠지니 아플 일이 없어서 좋다고
말한다.
눈귀가 어두우니 좋은 점이 더 많다. 글도 조선시로 쓰고 바둑도 꼭 이기려고 하지 않으니 좋다. 역발상으로 노인이 되어
좋은 점을 이야기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바라보았기 때문이다.격식을 따지지 않고 마음이 내키는데로 살아가는 노년의 여유가 느껴진다.
결국 나이듬도 마음의 문제가 아니겠는가. 마음만 먹으면 십쾌사도 가능하다.
현대인들도 나이먹으며 좋은 점을
찾아보자.
除日(제일) - 섣달 그믐날 (0) | 2016.12.31 |
---|---|
대주부지(待酒不至)-이태백(李太白) (0) | 2016.09.22 |
우리나라 漢詩 (0) | 2015.12.03 |
김시습(金時習) 시집 3 (0) | 2015.11.20 |
김시습(金時習) 시집 2 (0) | 201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