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재팔자(無財八字)
2009.03.07 by 굴재사람
재물(財物)
한혈마(汗血馬)
관다신형(官多身刑 )
6가지 새해 첫날
운을 받는 방법
자시(子時)
2009.03.06 by 굴재사람
돈과 여자
2009.03.05 by 굴재사람
[조용헌 살롱] 무재팔자(無財八字) 10대 후반에 산이 불러서 아루나찰나 산으로 들어갔던 인도의 성자 라마나 마하리쉬는 평생 동안 ‘나는 누구인가?’라는 화두를 탐구하였다. 한국의 40대 남자들은 ‘왜 나는 돈이 없는가?’라는 화두를 붙들고 있다. 돈을 벌기 위해서 그토록 수고와 노력을 아끼지 ..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7. 00:36
[조용헌 살롱] 재물(財物) 요즘은 드라마 제목도 ‘쩐의 전쟁’이다. 인간사에서 ‘쩐’은 영원한 화두이다. 팔자를 좌우하는 최대 변수도 역시 돈이다. 돈은 어떻게 인간의 팔자를 좌우하는가를 명리학(命理學) 고전에서 몇 가지 용어들을 발췌해 본다. 먼저 식신생재(食神生財)이다. 식신(食神)은 베..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7. 00:32
[조용헌 살롱] 한혈마(汗血馬) 사정시(四正時)가 있다. 한밤중인 자시(子時), 한낮인 오시(午時), 아침 해가 뜰 무렵인 묘시(卯時), 저녁 해가 질 무렵인 유시(酉時)를 가리킨다. 자시는 하루 중에서 음(陰)이 가장 강한 시간대이고, 오시는 양(陽)이 가장 강한 시간대이다. 그래서 자시를 다른 말로 활자시(..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7. 00:27
[조용헌 살롱] 관다신형(官多身刑) ‘재다신약(財多身弱)이요, 관다신형(官多身刑)이라!’ ‘재물이 많으면 몸이 약해지고, 관(官)이 많으면 몸에 고초가 있다’는 말이다. 명리학(命理學)에서 흔히 하는 말이다. 재물이 많은 집안에는 몸에 이상이 있는 자손이 많다. 재물은 자기가 쟁취해서 극복해야 ..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7. 00:17
[조용헌 살롱] 6가지 새해 첫날 새로운 해가 시작되는 기점(起點)을 어디로 정할 것인지는 문명권마다 또는 시대마다 보는 관점에 따라 달랐다. 음양이 반복하는 법칙을 통해서 계절의 변화와 인간사 그리고 역사의 변천을 읽어내려고 했던 학파가 주역파(周易派)이다. 주역에서는 밤과 낮, 음과 양, 즉 ..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7. 00:12
[조용헌 살롱] 운을 받는 방법 일본 사람들은 사서(四書) 가운데 맹자(孟子)를 좋아한다. 특히 일본의 교양 있는 정치인들은 맹자를 필독서로 생각한다. 동양적인 정서에 맞는 정치철학이 맹자에 담겨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하금곡(河錦谷) 선생이 맹자에 정통하다고 알려져 있다. 금곡 ..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7. 00:04
[조용헌살롱] 자시(子時) “임자 만났다!”는 말이 있다. 여기서 ‘임자’는 무슨 뜻일까? 한자로 풀어보면 ‘임자’(壬子)로 해석된다. 임(壬)은 천간(天干)의 10개 중 하나로 수(水)에 해당한다. 수(水)는 숫자로는 1이다. 물에서 생명이 시작되므로 물을 제일 첫 번째로 보는 것이다. 자(子)도 수(水)에 ..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6. 09:24
[조용헌 살롱] 돈과 여자 명리학(命理學)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가 돈과 여자이다. 남자들에게는 최대의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명리학에서는 이 두 가지를 같은 요소로 해석한다. 돈이 많으면 여자도 많고, 돈이 없으면 여자도 없다고 본다. 문제는 이 두 가지가 들이닥칠 때 동시에 오는 경우가 많..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5. 08: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