後赤壁賦(후적벽부) - 蘇軾(소식)
是歲十月之望(시세십월지망)에 : 그 해 시월 기망에
步自雪堂(보자설당)하여 : 설당에서 걸어나와
將歸於臨皐(장귀어임고)할새 : 임고정(臨皐亭)으로 돌아가려는데
二客從予(이객종여)라 : 두 손님이 나를 따라 왔다
過黃泥之坂(과황니지판)하니 : 황니 고개를 지나는데
霜露旣降(상로기강)하고 : 이미 서리와 이슬이 내려
木葉盡脫(목엽진탈)이라 : 나뭇잎은 모두 지고
人影在地(인영재지)어늘 : 사람의 그림자가 땅에 비치고 있기에
仰見明月(앙견명월)이라 : 고개를 들어 밝은 달을 쳐다보고
顧而樂之(고이락지)하여 : 주위를 돌아보며 즐거워하며
行歌相答(행가상답)이라 : 걸어가면서 노래불러 화답했다
已而歎曰有客無酒(이이탄왈유객무주)요 : 조금 지나 내가 탄식하기를, “객은 있는데 술이 없고
有酒無肴(유주무효)니 : 술이 있는데 안주가 없으니
月白風淸(월백풍청)을 : 달 밝고 바람 맑아도
如此良夜何(여차량야하)오 : 이같은 좋은 밤을 어찌 보내야 하나”하니
客曰今者薄暮(객왈금자박모)에 : 객이 말하기를, “오늘 해 질 부렵에
擧網得魚(거망득어)하니 : 그물로 고기를 잡았으니
巨口細鱗(거구세린)이 : 입이 크고 비늘이 가는 것이
狀似松江之鱸(상사송강지로)라 : 꼭 송강의 농어같이 생겼소
顧安所得酒乎(고안소득주호)오 : 살피건데, 술은 어디서 얻을까”하니
歸而謀諸婦(귀이모제부)하니 : 집에 돌아가 아내와 상의했더니
婦曰我有斗酒(부왈아유두주)하여 : 아내가 말하기를, “제게 술 한 말이 있는데
藏之久矣(장지구의)요 : 저장해 둔 지 오래 된 것입니다
以待子不時之須(이대자불시지수)로다 : 당신이 갑자기 찾을 것에 대비하여 둔 것입니다”했다
於是(어시)에 : 이에
攜酒與魚(휴주여어)하고 : 술과 고기를 가지고
復游於赤壁之下(복유어적벽지하)하니 : 다시 적벽 아래에 가서 놀았으니
江流有聲(강유유성)이오 : 흐르는 강물은 소리내고
斷岸千尺(단안천척)이라 : 깍아지른 언덕은 천척이나 되었다
山高月小(산고월소)하고 : 산이 높아 달은 작은데
水落石出(수락석출)리로다 : 강물이 줄어서 돌들이 드러나 있었다
曾日月之幾何(증일월지기하)오 : 일찌기 세월이 얼마나 지서
而江山不可復識矣(이강산불가복식의)라 : 강산을 다시 알아 볼 수 없단 말인가
予乃攝衣而上(여내섭의이상)하여 : 나는 옷을 걷고 올라가서
履巉巖披蒙茸(리참암피몽용)하고 : 깍아지를 듯 높이 솟은 바위를 밟으며 무성히 자란 풀숲을 헤치고
踞虎豹登虯龍(거호표등규룡)하여 : 호랑이나 표범 모양의 바위에 걸터 앉기도 하고 뱀이나 용같이 구부러진 나무에 올라
攀栖鶻之危巢(반서골지위소)하고 : 매가 사는 높이 솟은 둥지를 잡아보고
俯馮夷之幽宮(부풍이지유궁)하니 : 빙이의 궁전이 있는 깊은 물속도 내려다 보았다
蓋二客不能從焉(개이객불능종언)이라 : 그러나 두 객은 나를 따르지 못하였다
劃然長嘯(획연장소)하니 : 문득 길게 휘파람소리 나더니
草木震動(초목진동)하고 : 초목이 진동하고
山鳴谷應(산명곡응)이오 : 산이 울고 골짜기가 메아리치며
風起水涌(풍기수용)이라 : 바람이 일고 강물은 솟구쳤다
予亦悄然而悲(여역초연이비)하고 : 나도 또한 쓸쓸하여 슬퍼지고
肅然而恐(숙연이공)하여 : 숙연하여 두려워지며
凜乎其不可留也(름호기불가유야)라 : 몸이 오싹하여 더 머무를 수 없었다
反而登舟(반이등주)하고 : 돌아와 배에 올라
放乎中流(방호중류)하여 : 강 가운데에서 물 흐르는대로 내맡겨
聽其所止而休焉(청기소지이휴언)이라 : 배가 멈추는 곳을 알아 멈추게 하였다
時夜將半(시야장반)이라 : 때는 거의 한밤이 되었다
四顧寂寥(사고적요)러니 : 사방을 보니 적막한데
適有孤鶴(적유고학)이 : 마침 외로운 학 한 마리가
橫江東來(횡강동래)하여 : 강을 가로질러 동쪽에서 날아오는데
翅如車輪(시여거륜)하고 : 날개는 수레바퀴처럼 크고
玄裳縞衣(현상호의)로 : 검정 치마 흰 저고리 입은 듯 한데
戛然長鳴(알연장명)하여 : 끼룩끼룩 길게 소리내어 울며
掠予舟而西也(약여주이서야)러라 : 우리 배를 스쳐서 서쪽으로 날아갔다
須臾客去(수유객거)하고 : 잠시 후에 객은 돌아가고
予亦就睡(여역취수)러니 : 나도 잠이 들었다
夢一道士(몽일도사)가 : 꿈에 한 도사가
羽衣翩僊(우의편선)하여 : 새털로 만든 옷을 펄럭이며
過臨皐之下(과임고지하)라가 : 날아서 이모정 아래를 지나와
揖予而言曰赤壁之遊樂乎(읍여이언왈적벽지유락호)아 : 내게 읍하여 말하기를, “적벽의 노래가 즐거웠소”했다
問其姓名(문기성명)하니 : 내가 그의 성명을 물으니
俛而不答(면이불답)이라 : 머리를 숙인 채 대답하지 않았다
嗚呼噫嘻(오호희희)라 : 아,
我知之矣(아지지의)라 : 나는 알겠도다
疇昔之夜(주석지야)에 : 지난 밤에
飛鳴而過我者(비명이과아자)가 : 울면서 나를 스쳐 날아간 것이
非子也耶(비자야야)아 : 바로 그대가 아니오
道士顧笑(도사고소)하고 : 도사는 고개를 돌리며 웃었다
予亦驚悟(여역경오)하여 : 나도 또한 놀라 잠에서 깨어나
開戶視之(개호시지)하니 : 문을 열고 내다 보았으나
不見其處(불견기처)라 : 그가 있는 곳을 찾아볼 수 없었다
*
是歲:송나라 신종 원풍5년, 1082년
雪堂: 현재 호북성 황강현 동쪽에 있는 소식의 독서당.
소식이 1080년 황주 단련 副使로 부임하면서 지은 초당. 사방 벽에 눈온 경치를 그려 설당이라 부름.
臨皋임고:현재 호북성 황강현 남쪽 강변. 소식의 집이 있는 곳.
將:동반하다
黃泥之板:황니라고 불리는 고개
盡:죽다
脫 :전부
已而이이:곧
今者:지금
薄暮:땅거미
松江之鱸송강지로:송강의 농어. 강소성 송강현의 이름난 농어.
顧고:다만
安:어디에
謀諸婦모저부: 어떤 일을 아내와 의논함. 남자 스스로 할 일을 아내와 상의하다니 하고 조롱하는 뜻이 담겨 있는 말임
諸저:之
子:당신,경칭(공자,맹자)
須:필요하다
以待: 枕戈以待 침과이대 창을 베고 기다린다(항상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다)
攜휴:들다
月小:멀리 떠 있는 달이 작아 보인다
水落石出:물이 말라 밑바닥이 들어난다는 사자성어.
曾:이미
曾日月之幾何증일월지기하:이미 세월이 이렇게 지났나, 7월에 와서 놀고[전적벽부] 10월에 다시 왔다
識식: 알다
攝섭: 잡아매다
履리:밟다
巉참:가파르다
蒙몽: 덮다
茸용:풀이 나다
蒙茸몽용:풀이 어지럽게 난 모양
披피:헤치다
踞거:걸터앉다
虯龍규룡: 전설에서 이르는 상상의 동물. 용의 새끼로서 빛이 붉고 뿔이 돋쳤다고 함
踞虎豹:호랑이,표범같이 생긴 바위에 걸터앉다
登虯龍:규룡같이 생긴 구부러진 나무에 올라가다
攀반:무엇을 붙잡고 오르다
栖서:살다,거처하다
鶻골:송골매
俯부:구부리다
幽宮:깊숙한 곳에 있는 궁전
馮夷풍이: 河伯(물을 맡은 神)을 달리 이르는 말
河伯:송나라 때 황하에 빠져죽은 사람의 이름.
蓋개:모두
劃然획연:돌연
嘯소: 휘파람. 짐승·새 등이 길게 울부짖다
湧용:물이 솟구치다
悄초:근심하다
悄然초연:의기가 떨어져서 기운이 없다
肅然숙연:고요하고 엄숙함. 삼가고 두려워 하는 모양
凜름,늠:차다
其:어찌
聽:따르다
焉언:그러하다
四顧: 사방을 둘러 봄, 부근
寂寥적요:적적하고 쓸쓸함
適:마침
翅시: 날개
元 :玄 검다
裳상:치마
縞호: 白色,명주
戛알:부딪치는 소리
戛齒알치:소리를 내어 이를 갊
戛然히:알연히
쇠붙이가 부딪치는 소리나 학의 울음
소리 따위가 맑고 아름답게. 멀리서 들려오는 노래나 악기 소리가 맑고 은은하게
掠략:스쳐 지나가다
須臾수유:잠시
蹁편:너울너울 춤추다
躚선:춤추다, 빙돌다
揖읍:읍하다
俛부:숙이다,굽히다
疇주:이전,
疇昔주석: 별로 오래지 아니한 옛적
視:살피다
*
필화(筆禍) 사건으로 죄를 얻어 황저우[黃州:湖北省]에 유배되었던 소동파가
1082년(원풍 5)의 가을(7월)과 겨울(10월)에 황저우성 밖의 적벽에서 놀다가 지은 것이다.
7월에 지은 것을 《전(前)적벽부》, 10월에 지은 것을 《후적벽부》라 한다.
‘부’란 운문(韻文)의 하나인 문체의 명칭인데,
사물의 서술을 중심으로 한 한대(漢代)의 장려한 작품에서부터
육조(六朝) ·당(唐)시대의 형식적인 소형 작품으로 쇠퇴한 ‘부’의 장르를 생동하는 묘사로,
서정과 사상을 겸비한 문장으로 부활, 완성시킨 작품이 이 《적벽부》이다.
삼국시대의 옛 싸움터 적벽의 아름다운 경치와 역사의 대비, 자연과 일체화하려는
소동파의 제물(齊物)의 철학이 결부되어, 유려(流麗)한 표현과 함께 문학으로서 높은 경지를 이루었다.
大隱(대은) / 中隱(중은) / 小隱(소은) (0) | 2015.08.30 |
---|---|
巫山(무산) - 蘇東坡 (0) | 2015.08.30 |
前赤壁賦(전적벽부) - 蘇東坡 (0) | 2015.08.29 |
六月二十七日望湖樓醉書五絶其一(유월이십칠일망호루취서오절 1수) - 蘇東坡 (0) | 2015.08.26 |
智異山詩 (0) | 201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