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을 보면 날짜와 요일 말고도 온갖 정보가 빽빽하게 들어 있죠? 보통 가장 먼저 찾아보는 공휴일을 비롯해 명절, 기념일 등 뭔가 특별한 의미가 있는 날이 달력에 빼곡히 표시돼 있습니다. 이런 특별한 날은 다 정해져 있으니까 그냥 표시만 하면 되지 않느냐고요? 하하하! 모르시는 말씀! 언제가 정확한 날짜인지를 알기 위해서는 정교한 계산이 필요하답니다. |
달력 보고 생활의 리듬을 타자!
흔히 옛날 우리나라에서는 음력을 썼다고 알고 있지만, 실제로는 태음태양력을 썼습니다. 해의 움직임과 달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한 달력이지요.
예를 들어 볼까요? 우리 민족의 대명절인 설과 추석은 우리가 지금 쓰는 양력 달력에서는 매년 날짜가 바뀝니다. 설과 추석은 음력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각각 음력 1월 1일, 음력 8월 15일이지요.
그런데 달력을 자세히 보면 입춘, 우수, 경칩, 하지, 동지와 같은 표시가 되어 있는 날이 24개 있습니다. 바로 계절을 알 수 있게 정해 놓은 24절기입니다. 음력은 달이 매일 변하는 모습으로 하루하루가 지나가는 것을 알 수 있어 편리했지만, 해의 움직임과 맞지 않아 계절을 정확히 나타내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해의 움직임을 바탕으로 24절기를 정해 놓고 농사처럼 계절이 중요한 일에 활용했습니다.
24절기는 하늘에 고정된 별 사이를 움직이는 해의 위치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원의 중심은 360°이므로 해가 움직이는 길을 24등분하면 15° 간격을 이룹니다. 날짜로 따지면 약 15일이 됩니다. 해가 정동쪽에서 뜨는 춘분을 기준으로 0°에서 시작해 해가 90°에 오면 하지, 180°에 오면 추분, 270°에 오면 동지가 되는 것이죠. 24절기는 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오늘날 쓰는 양력 달력에서도 날짜가 거의 바뀌지 않습니다.
자~, 이쯤에서 아마도 궁금증이 생긴 분이 있을 텐데요. 음력은 계절을 나타내지 못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설과 추석은 항상 겨울과 가을에 있을까요?
비밀은 바로 윤달에 있답니다. 음력으로 12달은 일 년의 길이인 365일보다 짧아서 약 3년에 한 번씩 윤달을 넣어 줘야 한다는 것 기억하죠? 만약 윤달을 아무렇게나 넣으면 설이나 추석처럼 중요한 명절이 엉뚱한 계절에 올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윤달은 몇 가지 규칙에 따라 정합니다.
보통 음력 1달에는 24절기 중 2개가 들어가지만, 1년에 2~3개의 달에는 24절기가 한 번만 들어갑니다. 이런 달이 바로 윤달의 후보가 되지요. 여기에 음력 2월에는 반드시 춘분이 들어가야 하며, 음력 5월에는 하지, 음력 8월에는 추분, 음력 11월에는 동지가 들어가야 합니다. 이런 규칙에 따라 윤달을 넣기 때문에 불규칙적이고 정하기 어렵지요.
크리스마스는 예수의 생일이 아니다?
이제 각종 기념일을 챙길 때가 됐습니다. 석가탄신일, 어린이날, 크리스마스 등등. 사실 이런 공휴일을 비롯한 기념일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즐겁게 해 주는 날이죠. 이런 날은 오래 전부터 정해서 쓰고 있고 사람들도 익숙하기 때문에 지금 와서 다시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기념일이 처음 생길 때는 정확한 날짜를 찾기 위해 고생을 많이 했답니다. 수백 년에 걸쳐 싸움을 벌인 끝에 정해진 기념일도 있지요. 그리고 솔직히 고백하자면 지금도 사실은 잘못된 날짜가 있어요. 쉿! 이건 어디 가서 얘기하지 마세요. 사실 크리스마스는 예수가 태어난 날이 아니랍니다. 하하~.
하지만 괜찮아요. 달력에 있어서 정확성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사람들 사이의 약속이라는 점도 매우 중요하거든요. 모든 사람들이 똑같은 기념일을 받아들이고 축하할 수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거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