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화(弔花)
2014.04.29 by 굴재사람
조화
2009.12.14 by 굴재사람
남녀의 인연에 대해
2009.04.09 by 굴재사람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에 대해
2009.03.13 by 굴재사람
음양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음양의 조화(調和)에 대해 ②
음양의 조화(調和)에 대해 ①
음양(陰陽)이란?
[천자칼럼] 조화(弔花) 국화를 장례에 쓰는 관습은 구석기 때도 있었다. 1979년 충북 청원에서 4만년 전 동굴이 발굴됐을 때 유골과 함께 국화꽃 가루가 나왔다. 고고학자들은 “구석기 시대 유골에서 국화과·십자화과·운향과·명아주과 열매와 씨앗이 종종 발견되는 것은 그들이 먹다 ..
글모음(writings)/꽃과 나무 2014. 4. 29. 21:31
조화 산과 물, 산줄기와 물줄기는 늘 같이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기 마련이다. 서로 넘고 끊고 하는 대결과 갈등의 관계가 아니라 살을 부비고 사는 부부처럼 서로 감싸안고 휘감아 도는 조화와 사랑의 관계이다. - 홍순민의《우리 궁궐 이야기》중에서 - *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일 때 조화는 이루어..
글모음(writings)/짧은 글 2009. 12. 14. 09:47
최근 보도매체를 통해 크게 놀란 적이 있다. 혼인신고의 10% 정도가 외국인과의 결혼이라는 점이었다. 베트남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는 경우가 엄청나게 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어쨌거나 유사 이래, 외부로부터 새로운 피가 이처럼 대거 들어오는 일은 아마도 처음임이 분명하다. 수년 전 베트남..
라이프(life)/명리학 2009. 4. 9. 08:59
상생이란 동아시아 세계에만 존재하는 특유의 개념이다. 현대 문명을 주도하는 서구나 미국, 그리고 인류 문명의 발상지인 중동이나 이집트 등지의 문화 속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얼마 전에 상생을 영어로 하모니(harmony)라고 한 것을 보았는데, 뜻으로 새기면 상당히 잘 번역한 것이지만 하모니에 해..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3:59
한 번 펼치면 한 번 거두는 것이 음양의 조화(調和)라고 했다. 봄에 하늘이 비를 내려 땅을 적시고 햇빛이 길어지면서 온도가 올라가니 만물이 번성하기 시작한다. 펼침이다. 가을에 공기가 건조해지고 햇빛이 짧아지면서 만물이 건조하고 시들게 된다. 거둠이다. 거두는 것을 나쁘다 말할 수 없을 것..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3:36
사람들은 행복을 원하지만, 사실 행복이란 고통과 함께 가는 성질의 것이다. 행복이 존재한다는 것은 고통도 함께 있다는 말인 것이며, 행복이 없어지지 않는다면 고통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말도 된다. 행복을 양(陽)이라 한다면 음(陰)은 고통이 되는 것이다. 음(陰)이 사라지면 그와 함께 양(陽)도 사..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3:35
음양에 대한 생각의 변천과 발전 과정에서 사람들이 받아들였던 것은 암컷과 수컷이라는 성적(性的) 상징이었고 암수는 어울려야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발상이었다. 암수가 어울린다는 것은 바로 조화(調和)를 말하는 것이고, 새끼를 낳는다는 것은 생산(生産)이고 발전이다. 또 암수가 함께 해야 생..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3:34
옛날 어느 적엔가, 인간이 농사를 막 시작하던 무렵 정도에 사람들은 해가 점차 길어졌다가 다시 짧아지며 그것이 반복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씨를 뿌리고 가꾸어서 더 많은 식량을 얻어내는 농사라고 하는 신기술은 어느 때가 되면 해가 다시 길어진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