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돈을 번다는 것은 아무나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처음부터 금수저를 물고 출생하여 그 밑천으로 돈을 벌던가 식신생재의 소질을 타고나 그 능력으로 돈을 벌 수도 있을 것입니다.
* 명리학(命理學) 용어 가운데, 식신생재(食神生財)라는 용어가 있습니다.
식신(食神)은 다른 사람에게 음식을 먹이는 기질을 가리키는데, 상대방이 맛있게 먹는 장면을 바라보면서 이를 흐뭇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팔자에 식신이 발달돼 있다고 보면 틀림 없습니다. 다른 사람 먹이는 것, 그 자체를 즐기는 것입니다. 이런 기질이 큰돈을 벌어들인다는 게 식신생재의 개념입니다.
주변에서 돈 버는 사람들을 관찰해봤을 때 이 식신도 3가지로 세분화 됩니다.
첫째는 적선(積善)이고,
둘째는 기마이(선심, 호기)이고,
셋째는 뇌물인데
* 적선은 인정이 발동해 나오는데 대가를 바라지 않고 베푸는 행위가 적선입니다.
* 기마이는 다분히 낭만적인 스타일로 마음에 들고, 기분에 맞으면 돈을 쓰는 기질을 기마이가 좋다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씀씀이가 헤픈 낭비형 타입으로 전락할 수도 있지만, 어찌 됐든 베푸는 기질을 기본적으로 갖춘 셈입니다.
* 뇌물은 대가를 계산하고 베푸는 것으로 공짜가 아닙니다. 자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방을 유혹하는 전략입니다. 그렇지만 이 뇌물을 주는 것도 밑바탕에는 베푸는 기질이 깔려 있어야만 실천이 가능하고 배짱도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주 인색하고 소심한 사람은 뇌물 주는 것도 아까워합니다. ‘이렇게 건네줬는데도 상대방이 들어주지 않으면 어떻게 하지?’ 라는 의문이 꼬리를 물기 때문입니다. 이런 의문이 꼬리를 물면 뇌물 주는 것도 벌벌 떨기 마련이고, 뇌물이 도덕적인 행위는 아니지만 재물 그 자체는 도덕을 초월하는 속성을 갖는다는 것입니다.
** 식신생재의 한 예를 들면
왜정 때 경북 영천에 문명기(文明琦, 1878~1968 년)라는 이름을 가진 어물(魚物) 장수가 있었는데 경주, 포항, 영덕 등지에서 나오는 생선을 사다가 영천시장에 내다 파는 장수였습니다. 문명기는 묘한 스타일의 소유자로 당시 영천 경찰서장은 일본인이었는데, 이 영천 서장의 집 대문에다가 청어를 한 두름씩 몰래 갖다 놓곤 했는데 한 두름이라고 하면 20마리입니다.
일본 사람은 고등어를 특히 좋아하는 습성이 있어서, 일본어로 고등어를 ‘사바’라고 하는데왜정 때 일본 사람에게 부탁을 할 때 고등어를 몇 마리 갖다 주면 매끄러운 기름칠이 됐다고 전해지는데 이때부터 '사바사바’ 라는 말이 여기에서 유래됐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청어는 고등어보다 한 급 위의 고급생선으로, 문명기는 1달에 2~3번씩 경찰서장 집 대문 고리에다가 청어 꾸러미를 걸어놓고 사라지곤 했다고 합니다. 이걸 몇 번 받아먹던 일본인 서장은 누가 청어를 갖다 놓고 사라지는가 궁금했고, 마침내는 그 주인공이 조선인 문명기라는 생선 장수임을 알게 됐다고 합니다.
서장은 그 생선장수를 불러 “당신은 왜 내 집에다가 청어를 매번 갖다 놓았느냐?” 했는데 문명기는 “저는 영천시장에서 생선을 팔아 재미를 봤습니다. 다른 지역의 시장에서 생선을 팔 때는 치안이 좋지 않아서 깡패들에게 세금을 많이 뜯겼는데, 영천은 치안이 확보돼 뜯기지를 않았습니다. 그래서 영천 경찰서장님께 고마운 마음이 들었고, 깡패들에게 뜯기지 않은 만큼을 서장님께 현물로 갖다드려야 하겠다는 결심을 하게 된 것입니다.” 라고 말했다.
이 말을 듣고 보니 서장 입장에서도 치안이 확보돼 장사하기 좋아졌다고 하는 말은 기분 나쁜 말이 아니었고, 문명기라는 생선 장수의 관상도 두툼하게 돈이 붙게 생겼으며 조리 있게 말하는 스타일 또한 마음에 든 서장은 속으로 '이거 싹수 있는 놈이네!’ 라고 생각하고, “너 민원 사항이 뭐냐?”로 이어졌다.
이때 문명기는 “제가 어물장사를 해서 어느 정도 밑천을 모았습니다. 이 밑천을 갖고 종이장사로 전환을 해 보고 싶습니다. 종이장사를 하려면 신용이 필요합니다. 신용이 있어야 제가 외상으로 많은 종이를 매입할 수 있습니다. 한꺼번에 많은 종이를 매입해 놓아야만 이문이 크게 남는데, 외상 매입을 하려면 제 신원을 누군가 보증해 줘야만 그게 가능합니다.” 라고 부탁했다.
이에 서장은 흔쾌히 “그래. 내가 자네 보증을 해줄게.” 하고 보증을 섰고 1907년 영천 경찰서장의 보증을 등에 업고 문명기는 자기 자본의 10배나 되는 금액의 종이를 외상으로 매입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 후 문명기는 당시 경북 영덕에서 청송 가는 길에 지품면(知品面)이 있었는데, 이 지품면에는 속곡, 눌곡이라는 유명한 한지 생산지가 있었고 한지 원료인 닥나무가 많았던 곳입니다. 왜정시대 지품면 사람들은 이곳 종이를 만들어 판 돈으로 영해 들판을 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곳에서 문명기는 한지를 몽땅 구입해 놓고 팔리기를 기다렸지만, 한지를 구입해가던 중국 상인들이 “시세의 반값이 아니면 안 사겠다”고 중국 상인들이 태클을 걸고 버티자 이 상황을 예의 주시하던 문명기는 타협하지 않고 더 세게 나갔는데, “반값에는 절대 안 팔겠다. 차라리 불에 다 태워 버리겠다.” 고 실제로 장작 불을 피워놓고 한지 다발을 던져 태우기 시작했다.
이 장면을 보고 중국 상인들은 문명기의 말이 엄포가 아님을 깨달고 “제대로 가격 쳐줄게.” 라고 했지만 문명기는 “아니야. 나 너희들 하는 행동에 열 받아서 장사고 뭐고 다 태워 버릴 거야.” 했고, 중국상인들은 “부탁이야. 팔아줘.” 라고 사정하게 됐는데 이때 문명기는 “그렇다면 따따블로 값을 쳐 줘.” 라는 상술을 보여 정상 가격의 몇 배를 받고, 자신이 거의 독점하고 있던 한지를 중국상인에게 팔아 떼돈을 벌었다고 한다.
문명기는 제지업에서 번 돈으로 1932년 금광업에 뛰어들어 광산을 인수한 후 어느 날 순금으로 된 명함 2장 만들었는데 명함 전체가 순금이었고, 명함 한 장의 무게는 50돈이 나가는 명품 명함이었다. 문명기는 이 명함을 들고 경성의 조선 총독부를 찾아가 총독 비서에게 순금으로 제작된 자기 명함을 건넸다. 그리고 명함 1장을 비서에게 더 주면서 “이거는 총독에게 보여 드리고 내가 면회 신청한다고 해 주세요.” 했다.
금덩어리로 만든 명함을 처음 본 총독은 면회를 받고, “용건이 뭐냐?”고 물으니 문명기는"내가 천황 폐하의 은덕으로 돈을 벌게 됐다. 그 보답으로 천황에게 비행기를 헌납하려고 한다. 언제까지 하겠다."고 했고 총독은 매우 반가운 일이라 일본 천황에게 문명기의 비행기 자진 헌납 사실을 보고했다고 합니다.
이 때의 조선 총독은 6대 총독 우가키(宇垣一成)였을 것으로 보는데, 헌납 약속 시일이 돼도 문명기는 비행기를 보내지 않았는데 조급해진 총독은 “왜 비행기가 왜 안 오느냐?” 고 독촉했고 문명기는 “금광이 안 팔려서 그럽니다. 금광만 팔리면 바로 비행기 헌납하겠습니다” 라고 하니 조선 총독은 천황에게 한 약속을 어길지 모른다는 조바심이 났고 애가 탄 우가키 총독은 문명기의 금광을 팔리게 하려고 자기가 동분서주했다.
마침내 당시 일본의 전기 재벌인 노구치(野口)에게 이 건을 부탁했는데 이 노구치는 수풍 발전소를 비롯해 장진강, 부전강 발전소를 갖고 있던 일본의 재벌로 우가키에게 잘 보이고 싶어서 문명기의 금광을 시세보다 비싼 가격으로 매입해 줬는데 당시 금액으로 12만원이었다고 합니다. 문명기는 이 돈에서 10만원을 떼어 비행기 값으로 헌납하고, 나머지는 자기가 챙기는, 아무나 할 수 없는 장사를 했다고 합니다.
해방 후 문명기는 반민특위의 조사를 받았고, 현재는 친일파 명단에 올라 있는 문제의 인물입니다. 당연히 친일파라는 점은 차가운 비판을 받아야 하는 것이 맞지만, 그가 큰 재물을 갖게 된 원인은 무엇이었을까?
정리해 보면 서장에게 갖다 준 청어는 적선이었고, 한지를 장작불에 던지는 배짱은 기마이에 해당하고, 순금 명함은 뇌물로 분류했을 때 문명기는 식신생재의 팔자였음이 분명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
태어날 때 가난한 것은 당신의 잘못이 아니지만 죽을 때 가난한 것은 당신의 잘못이다.
적선은 자신에게 행복을 느끼게 합니다. 기마이(외래어로 인정함)는 자신에게 기쁨과 의욕과 배짱을 길러줍니다. 다만 뇌물은 도덕적이지 않고 김영란법도 생겼는데 잘못하면 망신 당합니다. 뇌물은 '사바사바'의 선 고등어 한 두름! 이 정도면 오늘 날 김영란 법도 생기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을 봤을 때 세상은 한발 앞서가는 자가 성공할 수 밖에 없습니다.
ㅡ 옮긴 글 / [조용헌의 八字기행] 참조
'12'라는 숫자 (0) | 2016.11.28 |
---|---|
24절기(節氣)의 유래(由來)와 시기(時期) (0) | 2016.11.16 |
조로아스터교의 鳥葬 (0) | 2015.12.14 |
財官印(재관인) (0) | 2015.12.07 |
두 사람의 八字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