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인슐린 저항성을 이기는 방패- 허벅지

라이프(life)/당뇨와 고혈압

by 굴재사람 2016. 1. 24. 01:36

본문


당뇨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려면 뱃살을 줄이고 허벅지를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전문가는 말한다. 특히 허벅지가 빈약하면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해 궁극적으로 당뇨병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 당뇨병에 안전한 허벅지 둘레(사타구니 부근)는 남녀 모두 55㎝ 이상이다. 사진은 허벅지 근육이 특히 발달한 보디빌더들. / 경향신문 자료사진

당뇨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려면 뱃살을 줄이고 허벅지를 늘리는 게 중요하다고 전문가는 말한다. 특히 허벅지가 빈약하면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해 궁극적으로 당뇨병이 될 가능성이 커진다. 당뇨병에 안전한 허벅지 둘레(사타구니 부근)는 남녀 모두 55㎝ 이상이다. 사진은 허벅지 근육이 특히 발달한 보디빌더들. / 경향신문 자료사진

 


[알기 쉬운 건강이야기] 인슐린 저항성을 이기는 방패- 허벅지



당뇨병 환자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는 사람의 공통점은 뱃살입니다. 대부분 뱃살이 많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제2형 당뇨병 환자인데도 처음부터 뱃살이 전혀 없었던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도 이것 하나만은 거의 공통점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무엇일까요?


바로 빈약한 허벅지입니다. 겉으로 보아 별로 살이 안 쪘음에도 불구하고 혈당이 높은 사람들은 대부분 (뱃살에 비해) 허벅지가 빈약합니다. 그래서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 허벅지가 빈약하면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하고 궁극적으로 당뇨병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벅지가 무슨 역할을 하기에 그럴까요?


첫째, 허벅지는 혈당의 최대 소비자이자 저수지입니다. 식사로 들어오는 탄수화물의 70%가 허벅지로 들어갑니다. 즉, 식후 혈당의 최대 주문자가 허벅지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허벅지가 어떤 이유에서 음식으로 들어온 탄수화물을 충분히 흡수해서 이용하지 못하면 식후 혈당이 올라가게 됩니다. 당뇨병은 공복 혈당과 식후 혈당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말하는데,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공복 혈당은 아직 높지 않지만 식후 혈당에 먼저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식후 혈당이 바로 허벅지가 해 놓은 일입니다.


항상 공복 혈당만 측정하면 식후 혈당이 나빠지는 것을 몰라 인슐린 저항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없습니다. 가끔은 식사 후에 혈당을 찍어보세요. 단순하게 말씀드리면 식후 1시간 혈당이 140㎎/dl 미만이 완전한 정상이고, 200㎎/dl가 넘으면 당뇨병을 의심해 보아야 하고, 140~200mg/dl이면 식후 혈당 처리에 문제가 좀 발생한 것이므로 생활습관을 돌아보아야 합니다.


유전적으로 복을 받아서, 아니면 평소에 운동을 많이 해서 허벅지가 충분히 굵은 사람은 음식으로 웬만큼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와도 허벅지가 충분히 처리를 해줍니다. 하지만 태생적으로 허벅지가 가늘거나 운동을 게을리 해서 허벅지가 가는 사람은 조금만 탄수화물이 많이 들어와도 흡수할 여력이 없으므로 나머지 포도당이 다 혈액 안에 몰려 혈당이 올라가고 심해지면 소변으로 당이 누설됩니다. 큰 저수지는 폭우가 와도 넘치지 않지만 얕고 좁은 저수지는 조금만 비가 와도 넘칩니다.


둘째, 허벅지는 지방을 평생 동안 가두어 놓는 지방 저장고입니다. 허벅지의 지방은 피하지방입니다. 내장지방이 위험한 이유는 지방산의 출입이 자유로워서 언제든지 지방산을 혈중으로 방출해 혈당을 올릴 수 있고, 바로 옆에 있는 간으로 지방산을 보내어 지방간을 만든다는 데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내장지방이 위험하다면, 반대로 간과 멀리 떨어져 있고 지방산이 한 번 들어오면 평생 절대 내보내지 않는 그런 지방이 있다면 그 지방은 오히려 건강에 유리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피하지방이고, 배와 멀리 떨어져 있는 허벅지의 지방은 피하지방입니다. 허벅지의 피하지방은 내장지방으로 갈 지방산을 다 잡아채서 아주 오랫동안 못 나가게 합니다. 내장지방이 지방 자유입출통장이라면 허벅지의 피하지방은 일정 기간 동안 인출할 수 없는 적금통장이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허벅지는 지방의 측면에서 보아도 뱃살에 대항하는 방패입니다.


허벅지의 굵기도 어느 정도 유전적인 영향이 있는 것 같은데, 자매나 형제가 다 허벅지가 가늘면 당뇨병에 걸린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후천적인 노력으로 극복이 가능합니다.



허벅지와 뱃살의 전쟁- 당뇨병

전 편에서 여러 번 언급했지만 인슐린 저항성의 시작이자 대표주자는 뱃살입니다. 뱃살이 자꾸 만들어내는 인슐린 저항성을 막아내는 것이 허벅지입니다. 따라서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당뇨병은 좀 단순하게 말해서 뱃살과 허벅지의 전쟁입니다.

배가 많이 나왔는데도 당뇨병에 걸리지 않은 사람들을 보면 대부분 허벅지가 충분히 굵습니다. 뱃살과 허벅지의 전쟁에서 허벅지가 건재하다면 아직은 당뇨병을 피해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시간문제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성장호르몬과 성호르몬이 없어지면서 근육은 빠지고 뱃살은 그것보다 더 많이 불어나기 때문에 결국엔 뱃살이 이기게 됩니다. 제가 분류하는 뱃살과 허벅지의 관점에서 본 제2형 당뇨병의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뱃살이 많고 허벅지는 가는 사람

2. 뱃살은 없지만 허벅지가 가는 사람

3. 허벅지가 굵지만 뱃살이 더 많아 허벅지가 뱃살에 패배한 사람.

제 경험으로 볼 때 초기 당뇨병에서는 3번이 제일 많고, 좀 오래된 당뇨병에서는 1번이 많고, 나이가 많은 여성에게 오는 당뇨병은 2번이 좀 많습니다.

허벅지를 늘리고 뱃살을 줄이자


따라서 당뇨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허벅지라는 존재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허벅지를 얼마나 키우느냐에 따라 성패가 좌우됩니다. 물론 반대편에 있는 뱃살도 고려해야 합니다.


뱃살을 줄이고 허벅지를 늘려야 합니다. 이것이 제2형 당뇨병 치료의 가장 중요한 열쇠입니다. 뱃살과 허벅지의 균형추를 바꾸어 주어야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습니다.

허벅지가 얼마나 굵어야 할까?


허벅지의 굵기가 대략 얼마나 되면 좋을까요? 나라, 인종, 성별, 나이에 따라 다 다르겠지만 그렇게 자세히 나온 분류는 아직까지 없습니다. 유럽에서 나온 대규모 연구를 보면 남녀노소 다 60㎝를 넘어야 당뇨병, 심장병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그런데 허벅지가 60㎝를 넘기는 참 힘듭니다. 우리나라 통계도 있는데, 약 55㎝ 전후가 매직 넘버입니다. 그래서 저의 기준은 55㎝입니다. 사타구니 근처에서 허벅지 둘레를 재는 방법을 씁니다. 한 번 해보세요. 본인의 허벅지가 몇 ㎝인지. 55㎝ 이상이면 그래도 좋은 편입니다. 저는 1년 전보다 더 늘어서 65㎝입니다.


허벅지를 쟀으면 이젠 허리 둘레를 재보세요. 배꼽 주변을 쟀을 때 남자는 90㎝ 미만, 여자는 85㎝ 미만이 좋다고 합니다. 두 가지 다 제일 좋은 경우는 남자 허리 둘레 90㎝ 미만, 허벅지 둘레 55㎝ 이상이겠습니다.


여담입니다만 저는 허벅지 둘레를 허리 둘레보다 더 신뢰합니다. 허벅지는 근육과 피하지방으로 되어 있는데, 근육이 많아서 굵든 피하지방이 많아 굵든 여하튼 굵기만 하면 됩니다. 그 이유는 앞에서 밝혔습니다. 그런데 허리 둘레는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합입니다. 어떤 사람은 허리 둘레가 많이 나가도 검사해보면 내장지방은 적고 대부분 피하지방인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그렇게 나쁘지 않습니다. 반대로 겉으로 보아 홀쭉한 사람인데 알고 보니 내장지방이 가득 찬 사람도 있습니다. 단순히 허리 둘레만 보면 건강하다고 잘못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허벅지 둘레는 전적으로 믿지만 허리 둘레는 조심해서 판단합니다.



허벅지와 내장지방과 여성호르몬


여성은 허벅지 둘레가 생애 주기에 따라 변합니다. 여성은 폐경기가 되면 여성호르몬이 나오지 않게 되는데, 이때 당뇨병과 관련된 두 가지의 중요한 변화가 생깁니다. 바로 뱃살과 허벅지입니다.

여성 호르몬은 허벅지 피하지방을 키워주고 유지해 주는 중요한 작용을 합니다. 아울러 뱃살도 안 나오게 합니다. 우리 나라는 좀 덜하지만 서양의 평범한 젊은 여성은 허리는 잘룩하고 둔부와 허벅지가 굵습니다. 서양배형의 체형입니다. 그런데 여성 호르몬이 없어지면서 이젠 반대로 허벅지의 피하지방이 마구 빠지고 대신 내장지방이 늘어납니다. 사과형 비만이 되는 순간입니다. 그래서 여성들은 폐경기 이후에 갑자기 혈당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