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뒤주에서 생을 마감한 사도세자가 명당에 묻힌 이유

라이프(life)/풍수지리

by 굴재사람 2015. 9. 23. 19:55

본문

뒤주에서 생을 마감한 사도세자가 명당에 묻힌 이유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가운데 조선왕릉이 있습니다. 세계에 현존(現存)하는 왕릉 가운데 가장 완벽한 형태를 보존하고 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습니다. 그런데 이 왕릉을 자세히 보면 특이한 점을 한가지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살펴볼까요?

맨 먼저 경기도 구리시에 동구릉(東九陵)이 있습니다. 동구릉에는 조선 태조 이성계를 비롯해 문종-선조-현종-영조-헌종 등 6명의 왕이 잠들어있지요. 인근 홍유릉(洪裕陵)에는 비운의 왕이라 할 고종과 순종이 있고 사릉(思陵)에는 광해군, 광릉(光陵)에는 세조가 묻혀 있습니다. 태강릉(泰康陵)에 명종, 의릉(懿陵)에는 경종, 헌인릉에 태종과 순조, 선정릉에 성종과 중종, 서오릉(西五陵)에 예종-숙종, 서삼릉(西三陵)에 인종-철종, 경기도 파주 장릉에는 인조가 묻혀 있습니다. 경기도 여주에는 세종과 효종이 묻힌 영릉, 강원도 영월에는 단종이 묻힌 장릉이 있지요.

이밖에 왕비들이 있는 김포 장릉과 파주 삼릉과 온릉 및 연산군 묘가 있습니다. 황해도 개성에는 정종이 묻힌 후릉이 있고요. 이 왕릉들을 살펴보면 특이한 점을 볼 수 있습니다. 왕릉들이 대부분 서울과 서울을 주변으로 한 경기도 북부에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왕릉이 수도 한양을 경계로 ‘백리 이내’여야 한다는 불문율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억울하게 숨진 단종의 강원도 영월의 장릉을 예외로 하면 특이하게도 특이하게도 사도(思悼) 세자의 융릉(隆陵)과 그 아들 정조의 건릉(健陵)만은 수원 남부 화성에 있습니다.
정조와 아버지 사도세자가 나란히 잠들어있는 건릉(왼쪽)과 융릉(오른쪽)이다.
정조와 아버지 사도세자가 나란히 잠들어있는 건릉(왼쪽)과 융릉(오른쪽)이다.
 
수원 중심부에서 자동차로 30분 정도를 달려야 융건릉이 나타나는데 풍수(風水)에 대한 특별한 지식이 없는 제 눈에도 사도세자가 묻힌 융릉이 아들 정조의 건릉보다 나아 보였습니다. 뭔가 탁 트였는데 정조의 건릉은 답답한 느낌을 금할 수 없었지요. 융건릉 관리인에게 이런 감상을 전하자 그는 “땅을 볼 줄 아시느냐”고 물었습니다. “전국을 떠돌아다니다 보니 그냥 그런 느낌을 받았다”고 하자 그가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는 것입니다.
융릉은 조선의 왕릉가운데 4대 명당에 속한다.
융릉은 조선의 왕릉가운데 4대 명당에 속한다.

건릉의 전경이다. 융릉이 비해 뭔가 답답한 느낌이 든다.
건릉의 전경이다. 융릉이 비해 뭔가 답답한 느낌이 든다.

건릉과 비교하면 사도세자의 무덤인 융릉은 사방이 툭트인데다 뒷편의 산세가 예사롭지않다.
건릉과 비교하면 사도세자의 무덤인 융릉은 사방이 툭트인데다 뒷편의 산세가 예사롭지않다.
 
“조선시대 왕릉 중 풍수적으로 뛰어난 곳이 네곳 있습니다. 가장 좋은 곳은 동구릉 가운데도 태조 이성계가 묻힌 곳, 여주 신륵사 인근의 영릉, 강원도 영월 청령포에 있는 단종묘가 그렇지요. 나머지 한곳이 바로 이곳의 융릉입니다. 거긴 이유가 있어요.”

그분이 말한 바로는 융릉은 능을 감싸는 청룡과 백호가 겹친 곳이며 천하 명당이라는 겁니다. 또 능 앞에는 작은 연못이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이 능이 용(龍)이 여의주를 물고 희롱하는 격의 형세라는 겁니다. 용은 원래 승천(昇天)해야 하는데 하도 여의주가 예뻐서 하늘로 가지 않고 희롱하느라 소일했다는 거지요. 그렇다면 왜 아버지 영조에 의해 뒤주에 갇혀 세상을 뜬 그가 이렇게 좋은 곳에 묻힌 걸까요? 관리인은 “아들 정조께서 전국의 풍수사를 총동원해 찾았다”고 합니다.
정조의 초상화 뒤로 펼쳐진 십장생 병풍. 하지만 정조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면서 조선은 급격한 멸망의 길로 접어들었다.
정조의 초상화 뒤로 펼쳐진 십장생 병풍. 하지만 정조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면서 조선은 급격한 멸망의 길로 접어들었다.
 
정조가 이 땅을 발견했을 때 한가지 난관이 있었습니다. 원래 왕릉에는 수도 한양에서 백리 이내여야 하는데 실제로 서울 경계선에서 융건릉은 백리가 살짝 넘는다지요. 하지만 워낙 명당이어서 그냥 이곳을 ‘백리(百里)안’이라고 했다는 것입니다. 원래 이곳에는 수원읍부(府)가 있었으나 왕릉을 조성하기 위해 관청을 지금의 수원시 쪽으로 옮기고 능을 만들었습니다. 효심이 지극했던 아들 정조는 원래 아버지 사도세자의 융릉 바로 옆에 묻혔는데 정조의 왕비가 돌아가셨을 때 보니 흉한 자리였습니다. 그래서 부랴부랴 사도세자 인근에서 땅을 찾은 게 건릉인데, 풍수적으로 그리 빼어난 곳은 아니라는 게 중론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의문이 들지요. 왜 단종이 묻힌 청령포의 묘는 명당이라는 걸까요? 옆길로 새는 것 같지만 알아보고 넘어갑니다.

삼촌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은 사방이 물길로 막힌 영월로 보내진 뒤 곧 살해당했습니다. 17세의 짧은 생애를 마친 것이지요. 단종의 시신은 동강에 버려졌습니다. 한 시대를 풍미한 왕의 시신이 강에 둥둥 떠다니는데도 아무도 거두지 않았지요. 이것을 보다 못한 영월호장 엄흥도라는 분이 삼족(三族)이 멸할 각오로 몰래 시신을 거둔 뒤 도을지산에 매장했는데 원래 이곳은 자기 가족묘를 쓰려고 준비해둔 땅이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바로 그 엄흥도 일가의 가족묘가 천하의 명당이라는 것입니다.
장안문은 오래도록 편안하게 살고 싶다는 뜻이다. 정조는 이곳에서 왕조의 새로운 도약을 꿈꿨을 것이다.
장안문은 오래도록 편안하게 살고 싶다는 뜻이다. 정조는 이곳에서 왕조의 새로운 도약을 꿈꿨을 것이다.

장안문안에서 한 외국인이 사진을 찍고있다. 수원화성은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장안문안에서 한 외국인이 사진을 찍고있다. 수원화성은 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청령포 장릉 한쪽 편에는 엄흥도(嚴興道) 정려각(旌閭閣)이 서 있습니다. 내용을 봅니다.

“이 비각은 엄흥도의 충절을 후세에 알리기 위하여 영조 2년(1726)에 세운 것이다. 충신 엄흥도가 영월호장으로 있을 때 단종이 노산군으로 강봉 유배되어 관풍헌에서 1457년 10월24일 조정에서 내려진 사약을 받고 승하하여 그 옥체가 강물에 버려지자 단종의 시신을 거두는 자는 삼족을 멸한다는 어명에도 가족과 함께 단종의 시신을 암장하여 충신으로 추앙받고 있다. 순조 33년(1833)에 공조판서로 추증되었고 고종 13년(1876)에 충의공이란 시호를 받았다.”

이런 걸 보면 몇 가지 느낌이 듭니다. 첫째 일개 호장 엄흥도는 의로운 일을 해 사후(死後)이긴 하지만 판서로 추증됐다는 점, 둘째는 엄흥도의 충절을 기린 영조가 정작 제 아들을 죽이고 그 손자 정조가 천하명당 융릉을 세웠다는 게 아이러니하지 않습니까? 사실 제가 융건릉을 가게 된 이유는 다른 데 있습니다. 최근 수원 화성(華城)에 흠뻑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 오십 대 중반에 서울에서 그다지 멀지도 않은 그곳을 처음 가본 게 부끄럽지만, 주말마다 성곽을 한 발씩 힘주어 밟으며 감탄을 금치 못하고 있습니다. <中편에 계속>
수원 화성의 4대문 가운데 하나인 화홍문이다. 홍은 무지개를 뜻하는데 밑으로 쏟아져내린 물결에서 무지개가 피었을 것이다.
수원 화성의 4대문 가운데 하나인 화홍문이다. 홍은 무지개를 뜻하는데 밑으로 쏟아져내린 물결에서 무지개가 피었을 것이다.

화홍문과 방화수류정 일대는 화성 관광의 백미다.
화홍문과 방화수류정 일대는 화성 관광의 백미다.
 
Photo By 이서현



[출처] 본 기사는 프리미엄조선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