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오행
2015.02.16 by 굴재사람
생성과 변화의 근원에 대해
2009.03.25 by 굴재사람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에 대해
2009.03.13 by 굴재사람
음양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음양의 조화(調和)에 대해 ①
상생과 상극
2008.11.16 by 굴재사람
오행론
1. 음양오행(陰陽五行) 음양오행은 고대 중국의 세계관으로, 천문현상과 인사(人事)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사상이다. 음양설은 우주나 인간의 모든 현상이 음(陰)과 양(陽)이 확장하고 소멸함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며, 오행설은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다섯 가지가 음양..
라이프(life)/오행생식 2015. 2. 16. 20:30
지금으로부터 대략 2500 년 전, 그리스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는 세상이 대립하는 것의 통일적 결합을 통해 부단히 변화해간다고 말했다. 이 말은 음양오행(陰陽五行)에 대해 필자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한 치도 어긋나지 않는다. 헤라클레이토스는 당겨진 활줄을 비유로 들면서, 활시위는 서로 반대..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25. 08:26
상생이란 동아시아 세계에만 존재하는 특유의 개념이다. 현대 문명을 주도하는 서구나 미국, 그리고 인류 문명의 발상지인 중동이나 이집트 등지의 문화 속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얼마 전에 상생을 영어로 하모니(harmony)라고 한 것을 보았는데, 뜻으로 새기면 상당히 잘 번역한 것이지만 하모니에 해..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3:59
한 번 펼치면 한 번 거두는 것이 음양의 조화(調和)라고 했다. 봄에 하늘이 비를 내려 땅을 적시고 햇빛이 길어지면서 온도가 올라가니 만물이 번성하기 시작한다. 펼침이다. 가을에 공기가 건조해지고 햇빛이 짧아지면서 만물이 건조하고 시들게 된다. 거둠이다. 거두는 것을 나쁘다 말할 수 없을 것..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3:36
음양에 대한 생각의 변천과 발전 과정에서 사람들이 받아들였던 것은 암컷과 수컷이라는 성적(性的) 상징이었고 암수는 어울려야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발상이었다. 암수가 어울린다는 것은 바로 조화(調和)를 말하는 것이고, 새끼를 낳는다는 것은 생산(生産)이고 발전이다. 또 암수가 함께 해야 생..
라이프(life)/명리학 2009. 3. 13. 13:34
오행의 상반 대립을 상극(相剋)이라 하고, 상호교감은 상생(相生)이라 한다. 상생의 관계로 변화하면 만물은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지만, 상극의 관계로 대립하면 파멸과 죽음에 이른다. 따라서 풍수학이 추구하는 오행 관계는 상생 속에서 복을 구하는 것이다. 상생 관계는 나무를 태우면 불이 나고, ..
라이프(life)/풍수지리 2008. 11. 16. 22:04
오행론(五行論)은 우주 만물의 본질을 이루는 활동적 요소를 가리키며,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의 5가지로 분류한다. 삼라만상 즉 자연과 인간은 이 오행의 소장 활동의 법칙에 의해 길흉화복이 좌우된다고 한다. 또 오행은 만물을 구성적 관계로 관찰하고, 이 다섯가지의 이합, 집산..
라이프(life)/풍수지리 2008. 11. 16. 2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