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앙박물관 탑과 산사나무

포토(photography)/풍경

by 굴재사람 2023. 4. 23. 11:17

본문

산사나무 이름의 유래는 열매가 사과맛이 날 뿐더러 붉고,

또한 산에서 나는 사과나무라고 하여 산사나무가 되었다. 


순우리말로는 아가위나무, 북한에서는 찔광이라고도 한다.

영어 이름은 ‘메이플라워’, 즉 오월의 꽃이다.

 

산사나무 꽃은 행복의 상징이었으며, 아테네의 여인들은 결혼식 날 머리를 장식하는 데 이용했다. 

지금도 5월 1일이면 산사나무 꽃다발을 만들어 문에 매달아 두는 풍습이 있다. 

 

꽃이 지고 곧바로 열리기 시작하는 열매는 뜨거운 여름 태양에 달궈져

8월이면 벌써 푸른 잎을 배경으로 빨갛게 익기 시작한다. 

 

구슬만 한 크기에 전체 모습은 귀여운 아기사과와 영락없이 닮았다. 

열매를 씹어 보면 역시 사과처럼 새콤하고 달큼한 맛이 난다.

 

중국과 일본 및 우리나라에서는 산사나무 열매를 ‘산사자(山査子)’라 하여

감기 기침은 물론 소화불량을 치료하는 약으로 널리 쓰였다.

 

230422 국립중앙박물관

'포토(photography) >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막골생태공원 인공폭포  (0) 2023.04.25
경희대 국제캠퍼스  (0) 2023.04.24
어린이대공원 분수쇼  (0) 2023.04.20
불암산 철쭉동산  (0) 2023.04.20
매화향에 취해  (0) 2023.03.12

관련글 더보기